15번 글쓰기=>잊지맙시다 미국의 순직군인 [Walton H Walker 월튼 워커 大將] 미국의 현충원 "알…
작성자 최고관리자



 

            15번 글쓰기=>잊지맙시다 미국의 순직군인 

              [Walton Harris Walker 월튼 워커 大將] 

           미국의 현충원 "알링턴 국립묘지"에 잠들다 

                [1950년 12월 23일 서울 도봉구 순직] 


0.윌튼 워커 大將 [Walton Harris Walker 대장]

1.나이=>1889년 12월 3일 [미국 텍사스 출생~~

         1950년 12월 23일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 교통사고 사망] 향년 61세

2.직업=>미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1912년]

3.군 경력

  1] 1944년 6월 6일=>노르망디 상륙작전 [제2차 세계대전]

  2] 1944년 8월=>조지 패튼 장군 휘하 근무하면서 독일 롬멜장군과 전투 승리


0.한국전쟁 중 "단 한 명 최고의 영웅 윌튼 워커" 장군

1.한국전쟁 한국인,미국인,유엔군 중에서 단 한 명만 순직영웅을 찾는다면

  단연코 Walton Walker 장군이다.한국전쟁 당시 남한군 포함 연합군은 약 14만 3000명이 전사했다


2.한국전쟁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내다

  1] 직책=>미 제8군 사령관  중장

  2] 한국에서 낙동강 방어서 전투

    1] 낙동강 방어선 사수 [일명 =>워커 라인]

    2] "New Korea Plan"=>낙동강 전선이 무너지면 한국의 정부 요인을 포함해서 약 62만명을

       "서사모아 제도" 섬으로 이동해서 망명 정부를 세우는 계획까지 할 정도였다

        제주도와 일본 규수 북서부 나가사키도 당시에 고려 했다고 한다.

    3] 맥아더도 낙동강 방어선이 무너지면 남한을 포기하고 전면 철수도 거론되었다고 한다.

    4]1950년 7월26일부터 1950년9월15일까지 약 2달간 워커 장군은 배수진을 쳤다

    5] 부산으로 밀리면 우리는 모두가 북한군에 학살 당한다.

    6] 워커 장군의 낙동강 방어선 名言

       "Stand or die" "자리를 지키거나 아니면 죽어라" 이 명령으로 미국 정부와 미국의회는 

       조국도 아닌 다른 나라 전선에서 일본의 군국주의자처럼 장병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마땅한가? 하고서 책임론이 있었지만 맥아더 장군은 "전쟁시에 군대에는 민주주의가 없다"

       라고 하면서 워커 장군을 감싸주었다.

     7] 이때 맥아더 장군은 이미 "인천상륙작전"을 구상하고 있어서 워커 장군에게 병력지원은 

         못하면서 최대한 버티라고 독려하면서 이미 "약 6만의 병력은 인천"으로 향하고 있었다.

      

3.중공군 개입으로 전선은 압록강에서 다시 서울을 뺏기기 전 상황

  1] 1950년 11월 25일=>중공군 3개 군단 즉 18개 사단이 기습적으로  포위 공격해옴

  2] 맥아더는 청천강[을지문적의 살수대첩]을 건너서 압록강으로 진격을 명령했다

  3] 워커 장군은 맥아더의 명령을 거부하고" 중공군의 포위작전"을 피해 신속한 후퇴로 인하여 

     장병들의 피해를 최소화 했다.

  4] 서부전선 쪽 워커 장군은 중공군 팽덕회의 포위작전을 피해서 서울까지 밀려 내려왔다

  5] 참고로 동부전선 쪽 알몬드 장군은 "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 12개 사단이 제2차 공세로 

     인하여 많은 희생자를 내고 "흥남 철수작전"까지 단행하였다


4.안타까운 영웅의 순직

  1] 1951년 1월 4일 [1.4 후퇴] 직전인 1950년 12월 삼팔선 경계는 전투는 치열했다

  2] 아들 "Sam Walker 대위"가 한국전쟁에 아버지와 함께 참전하고 있었다

  3] 워커 장군이 37살에 얻은 외아들 늦둥이였다.

  4] 1950년 12월 23일 미국 정부로부터 아들은 "은성무공훈장"을 받게 되었다

  5] 아버지 워커 장군은 자랑스러운 아들에게 직접 훈장을 걸어주기 위해서 아들이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

  6] 워커 장군이 지금의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을 지날 무렵 한국군 6사단 예하 부대 운전병이

     운전미숙으로 워터 장군의 지프차 옆구리로 돌진했다. 현장에서 순직한 것이다.

  7] 이렇게 한국전쟁의 영웅은 자신의 조국이 아닌 한국에서 자유를 지키지 위해 참전했다

  8] 한국전쟁 기간 중에 최상위 고급 장군의 희생자였으며 미국은 물론 "대한민국을 구원한

     자유의 수호신"으로 우리는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9] 미국도 한국처럼 순직 후 "육군대장으로 추서"하고 "알링턴 국립묘지"에 고이 잠들어 있다

  10] 아들 Sam Walker 대위도 아버지의 육군 대장 뒤를 이어서 지금까지 미국 육군 역사상 

      처음으로 "4성 장군 육군 대장 父子"간이 되었다 [참고로 해군.공군은 사례가 있다]


5.Walton Walker 장군의 대한민국 흔적들

  1] 여담이지만 "Work Boots"가 우리 군인의 전투화인 "워커 또는 워카"가 "Walker"의 이름에서

     생겼다는 설도 있다

  2] 1963년 4월 건축된 "워커힐 호텔 [Walker hill Hotel]"도 장군의 이름을 기억하기 위한 곳이다

  3} 워커힐 호텔 안에 "워커힐 하우스"식당도 있다

  4] 서울시 도봉구 도봉역 1번 출구에 "Walton Walker 추모비"도 있다

  5] 평택 미군기지에는 동상도 세워져 있다.


6.Walton Walker 장군의 교훈

  1] 먼저 대한민국을 위기에서 구한 영웅이기에 "한없이 존경하고 고맙고 애도를 표합니다"

  2] 세계 강대국이 되려면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고 "Noblesse Oblige"를 실천하는 민족성이

     있어야 한다.

  3] 대한민국 순직군인 유족회장 심부름을 하면서 우리 아들들의 죽음과 순직은 "대한민국을 

     위해서 무엇을 남겼는가? "되돌려 본다



작성자=>대한민국 순직군인 유족회장

작성일=>2025년 9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