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번 글쓰기=>"지평리 전투의 승리" 프랑스 육군 중장 몽클라르 대대장은 자유를 위해서 싸웠다. […
작성자 최고관리자

                

                    22번 글쓰기=>"지평리 전투의 승리"  

                  프랑스 육군 중장 몽클라르 대대장은 

                      자유를 위해서 싸웠다. 

                         [2025년 10월09일] 


0.몽클라르 中將=대대장 中領

1.랄프 몽클라르 중장=>Ralph  Monclar [본명=>라울 샤를 마그랭베르느레]

2.나이=>1892년~~1964년

3.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에서 출생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

4.국적=>프랑스 파리 [아버지는 헝가리 귀족 어머니는 프랑스 교사]

5.경력사항

  1] 생시르 육군사관학교 졸업

  2] 제1차 세계대전 참전

  3] 제2차 세계대전 참전 3성 장군 예편


6.자유를 위해서 한국전쟁에 참전하다.

  1] 프랑스는 처음 유엔의 참전 결정으로 군사고문단 12명만 보내려 하자 미국이 거부했다

  2] 몽클라르 장군은 한국전쟁에 참전하기 위해서 직접 현역과 예비역을 모집하였다

  3] 프랑스 드골정부는 1개 대대장의 지휘관을 육군 중장으로 임명하는 것이 부담스러웠다

  4] 그러나 몽클라르 장군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1]"육군 중령이라도 좋다.태어날 자식에 내가 최초의 유엔군으로서 *자유를 위해서* 

        참전했다고 전해주고 싶다"

     2] 그는 또 부인에게도 *자유를 위해서* 참전하고 혹시 내가 죽더라도 자식에게

        자랑스런 아버지라고 전해 달라고 했다.

  5] 프랑스 국방부는 1950년 8월 24일 몽클라르 장군을 한국전쟁에 대대장으로 결정했다.

    1] 프랑스 지휘관은 행정 대대장[몽클라르 장군] 작전 대대장은[르 미르 소령[이었다

    2] 초대 행정 대대장으로서 1년 간 임무를 시작했다

  6] 프랑스 대대는 1950년 11월 29일 부산에 도착했다

  7] 프랑스 대대는 미 육군 보병 제2사단 23연대에 배속을 받았다

  

7.횡성군 삼마치 전투 패배로 밀려나는 한국군과 유엔군

  1] 중공군 팽덕회는 1950년 2월 11일 17시에 중공군 제4차 공격이 시작되었다.

  2] 목표는 횡성군 삼마치에 배치된 한국군 제8사단을 기습공격 섬멸작전이었다.

  3] 한국군 보병 제8사단은 장교 323명 병사 7142명이 전사 또는 실종되었다

  4] 제8사단은 병력의 절반을 잃고서 대구로 내려가서 공비토벌작전을 수행했다.

 

8.양평군 지평리 전투에서 중공군을 격퇴하다.

  1] 전투기간=>1951년 2월13일부터 2월16일까지 [미 8군 사령관 리지웨이 사령관 사수 명령]

  2] 미 제23연대와 프랑스 대대는 *1.6 킬로미터의 원형 방어선*을 구축했다

  3] 미군과 프랑스군 5600명과 종공군 3만여명[약 3개 사단]이 4일간 밤낮으로 혈투가 이어졌다

  4] 중공군의 *개미떼 전술*을 미군과 프랑스군은 견고한 방어진지와 백병전으로 방어했다

  5] 중공군의 경적소리. 호각소리. 나팔소리를 프랑스 대대는 *싸이렌 소리*로 제압했다

  6] 원주전투에서는 프랑스 군은 1개 소대 25명이 1개 대대를 총검으로 섬멸하는 전과를 세웠다

  7] 유엔군 항공기의 포격으로 중공군을 제압하고 마지막 미 제1 기갑사단 크롬베즈 특공대가 

     지평리로 진입하는 주보급로를 확보하면서 전투가 종결되었다

  8] 중공군약 5000명의 전사자를 내고서 패주했다

  9] 아군은 전사 52명 부상자 259명이었다

  10] 1950년10월25일 중공군이 참전한 이후 유엔군의 최초의 대승이었다

  11] 인천상륙작전에 의해서 2번째로 판세를 역전시키는 전투였다

  12] 지평리 전투의 승리로 인하여 다시 38선 이북으로 진격하였고 더 이상 후퇴가 없었다

  13] 몽클라르 장군은 1년간의 임무를 종료하고 1951년 12월 지휘권을 넘기고 귀국했다

  14] 프랑스 대대는 한국전쟁 기간 동안 약 3500명이 교대로 투입되었다

  15] 전사자 262명이 대한민국을 위해서 희생되었고 실종 7명 부상자는 1008명이었다

 

8.지평리 전투의 전적지와 몽클라르 장군

  1] 몽클라르 중장은 1952년 5월 29일 중장으로 전역했다

  2] 프랑스 정부는 몽클라르 중장에게 두 가지 선택권을 주었다

  3] 4성 장군으로서 육군대장과 프랑스 무공훈장이었다. 그는 당연히 무공훈장을 선택했다.

  4] 지평 막걸리 양조장은 당시에 잠깐 지평리 전투시 전투 지휘소로 사용하였다

  5] 지평 막걸리 양조장은 1925년 건립되었고 가장 오래된 막걸리 양조장이다

  6] 2014년도에 국가등록 문화재로 594호로 등록되었고 한동안 폐쇄했다가 

     2025년4월30일 재개관했다

  7] 지평리 전투 유적지와 기념관

  8] "지평국제 평화공원"  옛날 지평전술훈련장 [6만 6060제곱미터=약 2만평]

     2029년까지 400억 예산


0.유족회장 견해

1. 세계를 이끄는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한 정신이 우선이다

2. 지도자의 의무인 희생정신 노블레스 오블리지 [Noblesse Oblige]가 있어야 한다

3. 한국전쟁에 참전해서 중부전선에서 순직한 Walton Walker 육군대장 미 8군 사령관이 있었다

  1950년 12월23일 지금의 도봉구 인근에서 교통사고로 전사했다.

4. 한국전쟁에 참전해서 1950년 8월 25일 미 제24보병사단장 윌리엄 딘 소장 [William F Dean]

  대전전투에서 패배한 후 북한군의 포위망에 걸려서 차를 버리고 산속을 헤매다 한두규의 

  밀고로 인하여 포로가 되었고 1953년 9월 4일 포로 석방이 되었다

5. 그리고 앞서 설명한 프랑스 중장 몽클라프 대대장 모두가 "자유"를 위해서 머나먼 타국 땅에서

   목숨을 거는 전투에 참여한 것이다

6. 오늘날 우리 대한민국이 이처럼 경제와 국방의 강국이 된 이유는 우리 스스로의 애국정신도

   있지만 자유 우방국의 숭고한 도움을 우리는 존중하고 기억해야 한다.

 

작성자=>대한민국 순직군인 유족회장

작성일=>2025년 10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