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번 글쓰기=>대청해전 사망자 없음 2009년 11월10일 오전 11시 후 [2025년 10월 05일]
작성자 최고관리자



               18번 글쓰기=>대청해전 사망자 없음  

               2009년 11월10일 오전 11시 후 

                     [2025년 10월 05일] 

 

 

0.대청해전

1.날짜=>2009년 11월 10일 오전 11시 후

2.장소=>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 동쪽 9킬로미터  [NLL 2.2킬로 남하]

3.NLL=>Northern Limit Line [북방 한계선]

4.NLL 지정=>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일] 이 후 1953년 8월 30일 마크 클라크 유엔군 사령관이 설정함


5.북한의 군사적 도발

  1] 경비정  383호 남침

  2] 경고방송=>경고사격=>격파사격 [남한 교전규칙]

  3] NLL 남쪽 해역 2.2 킬로미터 남하

  4] 경고방송. 경고사격에도 불구하고 계속 남하

  5] 2009년 11월 10일 오전 11시 37분=>남한 참수리 325호에다 조준사격 약 50여발]

  6] 남한의 대응사격 받고 383호 경비정 반파된 상태에서 퇴각

  7] 북한군 약 8명 사망 추정

 

6.남한의 군사적 대응

  1] 해군 제2함대 사령부 예하부대

  2] 참수리급 고속정[PKM] 325호 정장 김상훈 대위

  3] 대응사격=>20미리. 40미리 함포 약 4000발 격파사격

  4] 참수리 4척 지원사격.  호위함 1척 지원사격

  5] 남한의 사망자 부상자 없음


7.북한의 대청해전 평가

  1] 북한이 완패한 해전

  2] 북한 경비정 383호 반파되고 사망자 8명 추정

  3] 천안함 피격 사건의 전초전으로 고려 됨

 

0.서해수호의  55용사 교전

1.제1연평해전=>1999년 6월 15일=>남한군 피해 없음

2.제2연평해전=>2002년 6월 29일=>해병대 6명 전사 [2002년 월드컵 터키와 3.4위전]

3.대청해전=>2009년 11월 10일=>남한군 피해 없음

4.천안함 피격 사건=>2010년 3월 26일=>해군 47명 전사

5.연평도 포격전=>2010년 11월 23일=>해병대 2명 전사

 

0.유족회장 견해

1.대청해전은 제3연평해전으로 할려다가 연평도와 멀고 대청도에 근전해서 대청해전이라 했다고 한다

2. 인명피해가 없어서 정말 다행스러운 해전이였다

3. 교전규칙대로 북한의 침범시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장병들의 희생자가 없기를 바란다



작성자=>대한민국 순직군인 유족회장

작성일=>2025년 10월 05일